안녕하세요. iOSangBong입니다. 오늘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에 focusState에 대한 생각이 들어서 공부겸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iOS15부터 사용이 가능한 focusState가 있는데 대부분의 예제들을 보면 열거형으로 만들어준다음 옵셔널로 선언해줘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접했을때는 그냥 저렇게 사용하는거구나? 라고만 생각을 했는데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ForEach로 무한히 증식하는 텍스트필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하하하.... 매우 안좋은 형태라고 생각하지만 이미 결정된 상태라 의견을 제시할 수도 없었네요.... ㅜ 그래서 focusState는 못쓰겠구나 생각을 했는데.. 왜? 열거형으로만 사용해야되지? 라는 생각이 들자마자..
안녕하세요. iOSangBong입니다. 오늘은 위젯의 이름과 설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 다음 여러가지 위젯의 이름과 설명을 만들어주도록 하겠습니다. 1. 위젯 타이틀과 설명 홈화면 편집에 들어간다음 내가 원하는 위젯을 보게 되면 이런식으로 My Widget이라고 타이틀이 되어 있고 설명에는 This is an example widget이라고 되어 있네요. 어디서 많이 보시지 않았나요? 바로 WidgetConfiguration 부분에 딱 찾을 수가 있네요. configurationDisplayName하고 description을 변경해주면? 제대로 타이틀과 설명 부분이 변경 되신걸 볼 수 있습니다~! 2. 여러가지 위젯 타이틀과 설명 그러면 이제 여러가지 위젯 타이틀과 설명이 나오도록 한번 해보죠!..
안녕하세요. iOSangBong입니다. 오늘은 View의 터치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볼텐데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UX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사이즈보다 크게 터치 영역을 잡아줘야 하는데요. 배경색이 흰색이면 상관없지만 다른색일경우에는 배경색을 clear로 지정해줘야 하는데... 터치가 안될때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샘플코드를 짜보자면 Rectangle하고 Text가 있는데 Rectangle은 .clear 색상으로 두었습니다. 그리고 ZStack에 onTapGesture를 두었는데... 실행해보면? Rectangle의 크기를 200x200으로 여유 있게 두었는데도 터치가 안되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럴때는 간단하게 contentShape를 추가해주면 되는데요. 기존 코드에 content..